너는 예뻐

 

 

위의 문장은 물어보는 것일까요, 안 물어보는 것일까요?

 

3초만 고민해 보세요.

 

 

 

 

답은

 

'모른다'입니다.

 

'너는 예뻐.'라고 하면 안 물어보는 문장

'너는 예뻐?'라고 하면 물어보는 문장

 

물론 문장의 마지막 단어의 억양으로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어 볼 때는 올려주고, 안 물어 볼 때는 내려주고.

다른 말로 하면 우리말은 상대방이 물어보는 건지 안 물어보는 건지는 문장의 뒷부분에 나타납니다.

 

하지만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물어보는지 아닌지를 문장의 앞 부분에서 알 수 있습니다. 즉, 내가 상대방의 말을 듣는 입장이라면 문장의 앞 부분만 듣고 '나에게 질문하는구나'라고 알 수 있고 반대로 내가 상대방에게 물어보는 입장이라면 문장의 앞 부분에서 '물어보겠다는 표시를 해야지'라는 생각을 하면서 말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간단하게 이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영어는 물어볼 때 물어본다는 힌트를 준다!

 

그렇다면 왜 힌트를 줄까요?

 

추측컨대,

영어는 인식이 중요한 언어이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내가 질문을 하는 건지 아닌지를 문장의 앞 부분을 통해 인식시키려고 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유야 어쨌든 이제 영어로 물어보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워보겠습니다.

 

질문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반적인 질문

2. 구체적인 질문

 

일반적인 질문은 단순히 '하니, 안 하니?'라면 구체적인 질문은 '누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왜 등'과 같은 육하원칙을 넣어서 물어보는 것을 말합니다.

 

1. 일반적인 질문

 

우리말과 영어를 비교하면서 물어볼 때 힌트가 되는 단어가 뭔지 찾아보세요.

 

그는 배고파. → He is hungry.

그는 배고파? → Is he hungry?

그녀는 Tom을 좋아해. → She likes Tom.

그녀는 Tom을 좋아해? → Does she like Tom?

너는 수영할 수 있어. → You can swim.

너는 수영할 수 있어? → Can you swim?

 

 

찾으셨나요?

 

정답은

 

그는 배고파. → He is hungry.

그는 배고파? → Is he hungry?

그녀는 Tom을 좋아해. → She likes Tom.

그녀는 Tom을 좋아해? → Does she like Tom?

너는 수영할 수 있어. → You can swim.

너는 수영할 수 있어? → Can you swim?

 

 

1) He is hungry. vs. Is he hungry?

is는 be 동사입니다. be 동사가 필요한 문장에서는 물어볼 때 be 동사가 힌트가 됩니다.

그 이유는 be 동사가 힌트가 되기 위해 문장 앞에 나가도 뒷 문장을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입니다.

be 동사는 앞 뒤 단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Is he hungry?라고 해도 he가 hungry하구나로 이해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2) She likes Tom. vs. Does she like Tom?

하지만 like 동사는 be 동사와 달리 문장 앞에 나갈 수 없습니다.

Like she Tom? 이렇게 문장을 만들면 she가 Tom을 어떻게 한다는 건지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다른 힌트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do 입니다. 이 do는 물어보는 힌트를 위한 것이지 '하다'라는 의미의 do와는 다릅니다. 그리고 she는 외롭기 때문에 do를 does로 바꿔서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왜 Does she likes Tom? 이라고 하지는 않을까요?

눈치 빠르신 분들은 이미 눈치 채셨을 겁니다.

이미 Do에 es를 붙여서 힌트를 줬기 때문에 뒤에 like는 원래 모습 그대로 오는 것입니다. 두 번 중복해서 힌트를 주지 않겠다는 말이지요.

 

그렇다면 과거 느낌으로 물어볼 때는?

그렇습니다.

do 대신 did를 써주면 됩니다.

Did you like Tom? 너 Tom 좋아했어?

 

 

3) You can swim. vs. Can you swim?

여기서는 can이 문장 앞에 나가서 힌트가 되었습니다. 마치 be 동사처럼요. 그게 가능한 이유는 can이 문장 앞으로 나가도 you가 swim하는 구나라고 이해하는 데 문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자,

그럼 이제 힌트가 되는 단어와 그 단어가 전달하고자 하는 느낌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Am

I

내가 어떤 상태니?

Are

you, they, we

안 외로운 애가 어떤 상태니?

Is

he, she, it

외로운 애가 어떤 상태니?

Was

I, he, she, it

내가, 외로운 애가 어떤 상태였니?

Were

you, they, we

안 외로운 애가 어떤 상태였니?

 

 

 

Do

I, you, they, we

안 외로운 애가 어떤 행동을 하니?

Does

he, she, it

외로운 애가 어떤 행동을 하니?

Did

I, you, they, we
he, she, it

누가 어떤 행동을 했니?

 

 

 

Can

I, you, they, we
he, she, it

누가 어떤 행동이 가능하니?

Will

누가 어떤 행동을 할 의지가 있니?

Must

누가 어떤 행동을 꼭 해야 하니?

 

 

이 표를 외우려고 하지 마시고

앞으로 계속 영어를 공부하면서 질문할 때 이런 느낌을 가지고 해야겠구나 정도로만 생각하세요.

 

 

2. 구체적인 질문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물어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는 배고파? → Why Is he hungry?

그녀는 Tom을 좋아해? → Why does she like Tom?

너는 어디에서 수영할 수 있어? → Where can you swim? 

 

1) 육하원칙

구체적으로 물어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 배운 육하원칙을 쓰면 됩니다.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 어느 것

 

영어로는

 

'who, when, where, what, how, why' + which

 

2) 순서

위의 우리말 문장과 영어 문장을 비교해 보면 구체적으로 질문을 할 때 육하원칙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는 구체적인 질문을 하겠다는 힌트로 이 육하원칙을 먼저 써줍니다.

즉, 육하원칙으로 시작을 하면 물어보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아닌 경우도 있지만 일단은 그렇게 기억해 두세요.)

 

 

3. 정리

이제 기본적인 설명은 끝이 났습니다.

중요한 것은 설명을 외우고 머리로 아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장을 보고 듣고 따라 말해보면서 영어식 사고방식을 체화시키는 것입니다. 부지런히 실력을 갈고 닦아 질문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WRITTEN BY
test151
놀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