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뭔가를 잘 한다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정리하며 결론을 맺었다.

 

그럼 이제 영어에 있어서 잘 한다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자.

 

 

 

먼저 영어라는 언어에 있어서도 잘 한다라는 말은 상대적인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영어와 같은 '언어'는 잘 하고 못 하고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

 

 

 

우리말을 예로 들어보자.

 

누군가가 당신에게 '나는 너 보다 한국어를 더 잘해.' 라고 말한다면 무슨 생각이 들겠는가?

 

아니, 이 말 자체가 낯설지 않은가?

 

나는 살면서 이런 말을 주변에서 들은 적이 없지만

 

만약 그 상황을 가정한다면 이런 생각이 들 것 같다.

 

 

'한국어를 나 보다 잘 한다는 게 무슨 말이지?

띄어쓰기나 맞춤법 같은 걸 잘 한다는 건가?

어려운 단어들을 많이 알고 있다는 건가?

표현력이 뛰어나다는 건가?

논리적이라는 말인가? 뭐지???'

 

 

즉, 한국어라는 언어를 잘 한다는 말은 너무 두리뭉실 하다는 것이다.

 

 

 

영어도 마찬가지인데,

 

이 두리뭉실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른 기준을 가져 온다.

 

그건 바로,

 

점수다.

 

 

 

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우리 머리속에 깊이 박혀 있는 공식은 이렇다.

 

높은 영어 점수 = 영어를 잘 하는 것

 

그러다 보니 영어를 잘 하기 위해서는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하고

 

높은 점수를 받으면 영어를 잘 한다고 '착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나도 이 생각에서 오랫동안 자유롭지 못했고

 

그랬기에 영어를 배우는 것이 너무 힘들고 스트레스였다.

 

하지만 이 공식이 깨지는 순간 영어에서 자유할 수 있게 되었다.

 

 

 

저 공식을 깨는 방법은 간단했다.

 

영어를 잘 하는 방법이 아니라,

 

영어를 좋아하는 방법을 찾아 나선 것이다.

 

 

 

흔히 좋아하면 잘 할 수 있다고 한다.

 

나는 이 말을 믿는다.

 

하지만 반대로 잘 하면 좋아할 수 있다는 말은 믿지 않는다.

 

잘 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지쳐 포기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어떻게 하면 영어를 좋아할 수 있을지에 대해 같이 나눠보고자 한다.

 

 

 

 

 


WRITTEN BY
test151
놀이터

,